본문 바로가기

IT정보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 사이트맵 제출 방법(Bing)

제 블로그에는 티스토리 사용자를 위한 구글서치콘솔 등록방법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방법에 대한 포스팅이 있습니다.

 

2020/05/14 - [IT정보] -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티스토리는 다음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블로그입니다. 따라서 티스토리에서 글을 쓰면 다음에서는 금방 노출이 되죠. 그런데 네이버나 구글에는 글을 쓴 즉시 노출이 되지 않습니다. 티스토리에

inform-wiki.com

2020/05/20 - [IT정보] -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방법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방법

티스토리는 다음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블로그 서비스입니다. 그래서 다음에서는 별도의 블로그등록 절차가 필요없이 내 블로그 글이 잘 노출이 됩니다. 근데 네이버나 구글에서는 얘기가 다른�

inform-wiki.com

 

오늘은 구글과 네이버 말고도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검색엔진인 빙(Bing)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및 사이트맵 제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말 쉬우니 이 글만 잘 따라오신다면 5분 내로 웹마스터도구 등록이 가능합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포스팅

 

빙 검색엔진이란?


빙(Bing)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검색엔진입니다. 빙은 우리나라에서 네이버, 구글, 다음, 줌(Zum)을 이은 5번째로 많은 트래픽을 보유하고 있는 검색엔진입니다.

 

2019년도 검색엔진 점유율
2019 검색엔진 점유율

위의 그림은 인터넷트랜드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2019년 검색엔진 점유율 정보입니다.

 

링크 : 인터넷트랜드 홈페이지

 

해당 사진을 보면 2019년에는 네이버가 국내 검색엔진 중 5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등 구글은 약 33.5%, 3등인 다음은 7.02%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줌(ZUM)은 4등이고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은 0.40%로 5등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에이 0.4%밖에 안돼? 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있습니다만..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0.4%는 약 20만명입니다. 20만명이 검색하는 검색엔진에 내 블로그가 상위에 노출된다면 이로 인해 늘어나는 방문자수도 절대 무시할 수 있는 숫자는 아니죠. 점유율이 낮더라도 검색엔진에 내 티스토리를 등록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때문입니다. (5분만 투자하면 20만명의 잠재고객이 늘어나는 것인데 이를 포기하면 너무 비효율적이죠?)

 

각설하고, 빙 검색엔진에 내 티스토리를 노출시키려면 빙 웹마스터도구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야만 합니다. 자 그러면 이제부터 빙 웹마스터 등록, 사이트맵 제출 방법을 알아볼게요.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 사이트맵 제출 방법


먼저 빙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관련 링크 : 빙 웹마스터도구 홈페이지

 

Bing - 웹 마스터 도구

모바일 지원 Bing 모바일 지원 수준 확인 도구로 사이트가 모바일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bing.com

 

위의 링크를 클릭하고 들어가서 로그인(만약 회원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먼저 회원가입)을 합니다. 구글에 가입하셨다면 별다른 회원가입없이 구글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일단 로그인을 해볼게요.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1

▲ 위의 화면과 같이 내 사이트 아래 사이트추가하는 방법과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등록된 사이트를 가져오는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 구글서치콘솔 등록을 안한 분들도 있을테니 사이트 추가방법으로 해볼게요. 왼쪽 사이트추가란에 내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2

▲ 사이트추가 과정에서 내 정보, 그리고 블로그의 사이트맵 제출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사이트맵은 단순히 내 블로그 주소 뒤에 /sitemap.xml 만 타이핑해서 넣으면 됩니다. 원래는 사이트맵을 만들어서 업로드를 해야했는데, 최근부터는 티스토리 자체에서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생성해주기 때문에 절차가 훨씬 간단해졌습니다. 내 정보에서 전자메일주소는 필수이므로, 메일주소를 기입해둡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3

▲ 국가와 도시정보를 입력하고 넘어갑니다. 사실 이부분은 필수로 넣는 부분은 아니에요. 적절히 잘 넣고 알림설정을 한 다음 제일 아래에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4

▲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Bing 웹마스터도구에 내 사이트를 등록시키기 위해서는 내사이트의 html 코드에 위의 meta 태그를 넣어야합니다. 해당부분을 일단 복사해둡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5

▲ 내 블로그 관리자화면으로 들어가서 [스킨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6

▲ 스킨편집화면입니다. 우측 상단에 [html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7

▲ 복잡한 스킨편집 화면이 보입니다. 다 필요없고 <head>태그와 </head>태그를 찾습니다. 가장 윗쪽에 위치해 있으니 찾는게 그리 어렵진 않아요.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8

▲ 자 아까 복사해뒀던 Bing 웹마스터도구 meta태그를 </head>태그 바로 윗줄에 붙여넣기 합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말이죠.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9

▲ 그리고 다시 빙 웹마스터도구로 돌아와서 아래 [확인]버튼을 누르세요.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방법 10

▲ 위의 그림과 같이 뜨셨다면 내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빙 웹마스터도구에 등록되었다는 뜻입니다. 간단하죠?

 

 

 

마치며


오늘은 내 소유의 사이트, 블로그를 빙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빙 검색엔진도 다음, 네이버, 구글처럼 사람들이 내 블로그를 검색해서 들어올 수 있는 작은 문입니다. 굳이 이 문을 잠가둘 필요는 없으니 다들 잊지말고 빙 웹마스터도구 등록하길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