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는 자본시장의 꽃이라고들 하죠? 주식은 자본이 있는 투자자라면 금액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참여하여 돈을 벌 수 있는 곳입니다. 심지어 단 돈 1,000원만으로 주식 투자에 참여할 수 있죠. 그래서 주식투자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별 생각없이 주식에 입문하곤 합니다. 그래서 돈을 쉽게 잃기도 하는거거든요. 오늘은 주식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를 위한 주식 필수 용어 정리 시간을 한번 가져볼게요.
주식 필수 용어
- 양봉과 음봉
- 분봉, 일봉, 주봉, 월봉
- 고가, 저가, 시가, 종가
- 이동평균선
- MTS, HTS
- 매수, 매도
오늘 다룰 주식 용어들입니다. 위의 용어들을 차례대로 알아봅시다.
양봉과 음봉(고가, 저가, 시가, 종가)
여의봉 아시죠? 봉은 길다란 막대기를 뜻합니다. 주식 차트를 보면 파란색, 빨간색 봉들이 상당히 많이 보입니다. 여기서 빨간 봉을 양봉, 파란 봉을 음봉이라고 합니다. 그럼 양봉과 음봉은 뭘 의미하는걸까요? 양봉은 주식 가격이 상승한 것을 나타내는 봉이고 음봉은 주식 가격이 하락한 것을 나타내는 봉입니다.
삼성전자의 차트를 봐도 빨간색 양봉과 파란색 음봉이 보이죠? 빨간색 양봉은 이날 삼성전자의 주가가 봉의 아랫부분(두꺼운 부분)에서 윗부분(두꺼운부분)까지 상승했다는 걸 나타냅니다. 반대로 파란색 음봉은 이날 삼성전자의 주가가 봉의 두꺼운 윗부분에서 두꺼운 아랫부분까지 하락했다는 걸 나타냅니다. 봉을 볼때 유의해야 할 점은 봉의 꼬리입니다.
양봉과 음봉에서 중요한 것은 봉 하나는 한 단위의 시간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바로 분봉, 일봉, 주봉, 월봉처럼 말입니다.
분봉, 일봉, 주봉, 월봉
봉 하나는 1분을 나타낼수도, 하루를 나타낼수도, 1주일을 나타낼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1달을 나타내기도 하죠.
위의 그림처럼 둘 다 삼성전자의 차트인데 양봉과 음봉의 모양이 다릅니다. 이건 왜냐면 삼성전자의 차트를 주봉 기준으로 보느냐 월봉 기준으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겁니다. 주봉은 봉 1개가 일주일 단위로 나타낸 것이고 월봉은 봉 1개가 한달 단위로 나타낸 것이죠.
- 분봉 : 봉 1개가 1분~60분을 나타냄
- 일봉 : 봉 1개가 하루를 나타냄
- 주봉 : 봉 1개가 한주를 나타냄
- 월봉 : 봉 1개가 한달을 나타냄
따라서 주식 차트를 볼때는 이 차트가 분봉인지, 일봉인지, 주봉인지, 월봉인지를 잘 파악해야 합니다. 이 용어들은 주식 필수 용어 중 하나입니다.
고가, 저가, 시가, 종가
양봉과 음봉을 자세히 보면 꼬랑지가 튀어나와 있는게 있습니다. 어떤건 꼬랑지가 있고 어떤건 꼬랑지가 없죠. 이 꼬랑지를 유심히 봐야할 필요가 있는데, 꼬랑지가 의미하는 바가 따로 있기 때문입니다.
- 고가(윗꼬리) : 봉 1개의 시간 중 주가가 가장 높았을 때의 가격
- 저가(아랫꼬리) : 봉 1개의 시간 중 주가가 가장 낮았을 때의 가격
- 시가 : 봉 1개의 시간이 시작할 때의 가격
- 종가 : 봉 1개의 시간이 끝날 때의 가격
예를 들어서 일봉 차트를 볼 때 일봉 1개의 시가는 그날 장 시작때의 종목 주가를 뜻합니다. 종가는 그날 장이 마감할때의 주가를 뜻하죠. 고가와 종가는 주식시장이 열려서 주식 가격이 막 요동칠때 장중 가장 높았던 가격과 가장 낮았던 가격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윗꼬리와 아랫꼬리도 유심히 봐야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양봉과 음봉의 시가랑 종가는 서로 위치가 반대입니다!
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도 잘 봐야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니까요. 이동평균선은 줄여서 이평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연속된 선들이 보이죠? 주황색선, 보라색선, 빨간색선, 초록색선이 보입니다. 이런 선들이 이동평균선이에요. 이동평균선은 과거 주가들의 평균을 이은 선인데요 현재 주가와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통해 이 주가가 고평가되어있는지 저평가되어있는지 확인하는 척도로 쓰입니다. 이동평균선은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이 있는데 각각의 의미하는 바가 따로 있습니다.
- 5일선 : 과거 5일간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이은 선
- 20일선 : 과거 20일간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이은 선
- 60일선 : 과거 60일간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이은 선
- 120일선 : 과거 120일간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이은 선
그림에서 5일선은 초록선, 20일선은 빨간선, 60일선은 주황선, 120일선은 보라색 선으로 나타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숫자가 커질수록 선의 변동이 적습니다. 이 이평선을 통해 매매신호를 포착하기도 하는데, 이평선을 활용한 매매기법은 다음시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TS, HTS
주식을 사고팔려면 증권계좌를 만들고 주식 거래시스템을 이용해야 합니다. 전화로 유선주문을 할수도있고 직접 한국거래소에 가서 주문을 넣을수도 있는데,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활용하여 손쉽게 주식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 MTS : Mobile Trading System, 스마트폰 주식 거래 어플
- HTS : Home Trading System, PC 주식 거래 프로그램
MTS는 키움증권 영웅문s, 미래에셋대우 M.stock와 같은 스마트폰 어플을 뜻하는 용어이고, HTS는 키움증권 영웅문4처럼 컴퓨터로 주식을 거래하는 프로그램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MTS HTS 역시 주식 필수 용어 중 하나이죠.
매수 매도
보통 주식을 사고팔려면 MTS 또는 HTS를 이용하여 주문을 넣습니다. 이 때 주식을 사는 주문을 매수주문, 주식을 파는 주문을 매도주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매수세가 강하다는 뜻은 매수하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고 매도세가 강하다는 뜻은 주식을 매도하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입니다. 매수 매도를 합쳐서 매매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마치며
오늘은 간단히 주식 필수 용어들을 알아봤습니다. 주식을 하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하는 용어인데요 아마 주식 거래를 한두번 이상 해본다면 이 용어들이 차츰차츰 익숙해질겁니다. 다음에는 좀 더 심화해서 언제 주식을 사고 팔아야하는지 매수 매도 포인트 잡는법도 한번 알아볼게요.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재난지원금 대상확인 (0) | 2020.09.29 |
---|---|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정리 (0) | 2020.05.27 |
[경제용어] BIS비율 뜻 (0) | 2020.05.26 |
어닝쇼크 어닝서프라이즈 뜻 비교 (0) | 2020.05.26 |
주식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차이 (0) | 2020.05.21 |